- 상대적으로 작은 32비트의 주소 공간
- 클래스 기반의 주소 할당 방식 때문에 주소 부족
- CIDR과 IP NAT 기술로 부족현상을 조금 지연
- IPv6 표준
- 주요 기능은 1998년에 발표된 RFC 2460에서 RFC 2467까지에 이르는 일련의 RFC로 정의
- RFC 2060
- 주 IPv6 표준
- 인터넷 프로토콜, 버전 6 명세
- IPv6의 동작을 돕는 두 프로토콜
- 인접 노드 발견 프로토콜(ND)
-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 버전 6 (ICMPv6)
- RFC2373
- IP 버전 6 주소지정 구조(IP Version 6 Addressing Architecture)
- RFC 2374
- IPv6 집선 가능한 전역 유니캐스트 주소지정 포맷
- An IPv6 Aggregatable Global Unicast Address Format
- IPv6 설계 목표
- 더 넓은 주소 공간
- 더 효율적인 주소관리
- 주소 부족을 해결하기 위한 보조 방식의 제거
- IPv6는 NAT나 그와 유사한 방식을 사용하지 않으며, 모든 TCP/IP 장비들이 공인 주소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.
- 쉬운 TCP/IP 관리
- 현대적인 라우팅 방식
- 더 나은 멀티캐스팅 지원
- 더 나은 보안 지원
- 더 나은 이동성 지원
IPv6의 중요 변경 사항과 추가 사항
- IPv6로 오면서 IPv4와 달라진 부분
- 더 큰 주소 공간: 32비트 -> 128비트
- 계층적 주소 공간
- 유니캐스트 주소의 계층적 할당
- 유니캐스트 이외의 주소에 대한 더 나은 지원
- 애니캐스트(이 그룹 멤버 중에서 가장 가까운 멤버에게 전달) 추가
- 자동 구성과 주소 재지정
- 새 데이터그램 포맷
- 서비스 품질 보장(QoS) 지원
- 보안 지원
- 단편화와 재조합 과정 개선
- 현대화된 라우팅 지원
- 전이 기능
- 다른 프로토콜의 변경
IPv4에서 IPv6로의 전이
- IPv4에서 IPv6로의 전이 방법
- 이중 스택 장비
- IPv4/IPv6 변환
- IPv4 터널링
댓글 없음:
댓글 쓰기